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Adobe
- zero knowledge proof
- 완전 비밀 분산
- haze #텐서플로 #tensorflow #ai
- 비밀 분산 기법
- #암호학이론
- CC
- 디자인
- 샤미르
- Shamir
- 포토샵
- 블로그_이전_계획보다_지금_해야할게_더_많아서_유지예정
- 어도비
- graph 3 coloring
- UX
Archives
- Today
- Total
For Beginners
[opencv] 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conversion 종류 본문
728x90
https://docs.opencv.org/3.4/de/d25/imgproc_color_conversions.html
여기를 확인하면 알 수 있다.
이미지 비트수에 따라 다른 conversion을 사용한다고 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코드의 경우, 8bit 짜리 이미지의 해당하는 자료형을 사용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Hue관련 자료형들은 hue를 대부분 절반을 자른 0-179의 range로 구성되어있어서
기존 실험을 진행하는 사람들이 cv2나 cv 라이브러리르 사용한다면,
라이브러리간 이미지를 전달할 때 해당 라이브러리에 맞는 normalization을 진행해주지 않으면
잘 인식이 되지 않을 수있어 조심해야 한다.
진짜 앞이 하나도 안보이지만
언젠가는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계속 하다보면 제대로 된 것이 얻어걸릴거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아 그리고 요새 다이어리 꾸미기를 하고 있다.
다이어리에 좋은 내용을 채우기 위해서
더 좋은 연구를 하려고 하는 편이다.
화이팅!
'2021 이전 자료들 > Multimed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처리] 디렉토리 내 이미지 파일을 모두 처리하기 (0) | 2020.01.08 |
---|---|
[영상 처리] DEHAZE를 진행해봅시다 - 1 (0) | 2020.01.08 |
[멀티미디어신호처리]VIDEO (0) | 2018.11.26 |
[멀티미디어 신호처리]VIdeo Compression (0) | 2018.11.21 |
[멀티미디어신호처리]비디오 압축 (0) | 2018.11.1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