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haze #텐서플로 #tensorflow #ai
- 블로그_이전_계획보다_지금_해야할게_더_많아서_유지예정
- UX
- 어도비
- Adobe
- #암호학이론
- CC
- graph 3 coloring
- zero knowledge proof
- 포토샵
- Shamir
- 완전 비밀 분산
- 비밀 분산 기법
- 샤미르
- 디자인
- Today
- Total
목록2021년 자료/WEB (20)
For Beginners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JSP의 지시자 지시문의 종류는 3가지이다.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지시문은 페이지의 속성과 값을 표현한다. 속성="값" 형태로 주어진다. 일반적으로 페이지 지시문은 이클립스가 알아서 코딩하고, 코드의 맨 상단에 적혀있는 경우가 많다. 한글을 쓰기 위해서는 contentType는 무조건 재설정해주어야 한다. pageEncoding과 contentType의 형식을 맞추어주어야 편리하다. import의 경우, 콤마로 연결해서 여러 개의 import를 한 줄에 사용할 수 있다. 👉 XML 문법 ✔ 속성과 속성 사이에는 공백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 세션 세션의 기본값은 true이다. 사용자 인증 처리를 담당한다. false로 바꾸지 않는 경우, 아무 데에서나 쓸 수 있다. ↔ Exception의 경우와..
👉 Web Architecture 👉 클라이언트↔웹 서버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사이에서는 요청과 응답이 이루어진다. 1.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발생하여 웹 서버로 요청(request) 2. 웹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처리한다. ... 3. 서버의 정보를 받아 응답(response)를 하여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 👉 웹 서버↔어플리케이션 서버 웹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접속이 처리되면, 클라이언트에게서 받은 데이터는 디비에 저장하고, 디비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꺼내와서 응답할 내용을 웹 서버에 전달하여야 한다. 그 과정을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담당한다. 사람들은 웹과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분리하지 않고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찾았는데, 그렇게 등장한 것이 WAS이다. WAS(Web..
👉 html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다국어인 경우. 둘 중 하나만 사용해도 된다. 👉 서블릿의 구동 순서 1. 데이터를 받는다. 2. 로직을 통해 처리한다. 3. 응답페이지로 응답한다. 👉 응답 페이지의 html 코드를 편리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 jsp를 이용하여 여기에 자바 코드를 넣는다. 👉 Servlet API 내가 만든 서블릿 > HttpServlet > GenericServlet > Servlet HttpServletRequest> ServletRequest 👉 LifeCycle 작업 순서 1. 생성자 생성 2. init ----------------------------최초 호출(코드가 수정되는 경우)----------------------- 3. Service(doGet, doPost : 새로고..
👉 Web Server Web Server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처리해준다. HTML이나, CSS, JavaScript만을 인식한다. DB 등은 처리할 수 없다. 👉 Application Server 로직처리를 해준다. DB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한다. Presentation : 화면에 보이는 역할 Business Logic : 응답을 위해 👉 WAS 웹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합쳐놓은 서버 👉 Application Server에서 사용하는 자바 Java SE 를 기반으로 하는 ServerSide Program -> Java EE Servlet -> 웹에서 돌아가는 자바 👉 JSP Java Server Page : 서블릿의 문법을 따른다. 코드 상에서 약간의 Servlet과 다른 특징이 존재한다. 👉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