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zero knowledge proof
- 포토샵
- haze #텐서플로 #tensorflow #ai
- UX
- 디자인
- 어도비
- #암호학이론
- graph 3 coloring
- 완전 비밀 분산
- CC
- Adobe
- 비밀 분산 기법
- 블로그_이전_계획보다_지금_해야할게_더_많아서_유지예정
- Shamir
- 샤미르
Archives
- Today
- Total
For Beginners
MST와 DIJKSTRA를 구분하는 방법 본문
728x90
MST는 무조건 양방향 그래프다.
양방향 그래프가 주어지면 MST로 풀 수 있는가를 의심하면 된다.
간적크간많프
개인적으로 PQ를 직접 구현할 수 있는 수준이면 prim을,
DisjointSet을 구분하는 로직을 잘 짜면 Kruskal을 추천하신다고 하셨다.
DIJKSTRA의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양방향/단방향으로 주어지는데
대부분의 시험 문제는 단방향으로 주어지는 경우가 많다.
'2021년 자료 > ALGO'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14502] 연구소 (0) | 2021.03.26 |
---|---|
[BOJ-2636] 치즈 (0) | 2021.03.24 |
[BOJ-1342] 행운의 문자열 (0) | 2021.03.2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