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블로그_이전_계획보다_지금_해야할게_더_많아서_유지예정
- Shamir
- 디자인
- CC
- Adobe
- 완전 비밀 분산
- 비밀 분산 기법
- zero knowledge proof
- 샤미르
- UX
- 어도비
- haze #텐서플로 #tensorflow #ai
- #암호학이론
- graph 3 coloring
- 포토샵
- Today
- Total
목록2021 이전 자료들/AI (64)
For Beginners
loss 함수를 만들고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제목과 같은 에러가 생겼다. 그래서 뭐지? 하고 찾아보니까 torch를 업데이트 하라는 의견이 많았다. 그래서 이렇게 했다. 나중에 연구할 때 참고하도록하자! 아 근데 RuntimeError: CuDNN error: CUDNN_STATUS_SUCCESS 이런 에러가 떠서 찾아보니까 cuda를 9.2로 업데이트를 하고 pytorch도 9.2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하라고 한다. 어렵고 험난하구나... 일단 해보자. 아 당떨어진다ㅎㅎ 일단 오늘은 다운로드 먼저 해보자. 새로운 환경셋팅을 다시 해야겠다... 그냥 9.0인데 9.2로 돌리면 이렇게 나온다. conda install pytorch torchvision cudatoolkit=9.2 -c pytorch-night..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먼저 Normalization에 대한 설명을 들어가기 전에 이걸 알아봅시다. Normalization은 왜 사용하는 것일까요? 학습 데이터가 중복이 있는 것도 아닌데 데이터베이스마냥 정규화를 사용하니 왜 사용하는지 이해가 잘 안되어서 저도 궁금했습니다. 제가 이해한 대로 적었지만, 정확한 책의 내용을 가져온 것은 아니고 영어 잘 못하는 제가 해석해서 쉽게 제 스스로 이해할 수 있게 분석한 것이니, 혹시 읽으시면서 음 아닌데? 싶은 부분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태클을 걸어주세요! 환영입니다~ 학습이 진행되면서 데이터의 분포가 어떤 분포를 띄게 됩니다. 고등학교 때 통계를 배울 때 가우시안 함수 분포에 대해서 배웠듯이 특정 함수 모양으로 데이터가 분포하게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고양이와 강아지 사진을 분..
오늘은 컴퓨터가 안켜지고 그래픽 드라이버가 고장났는지 우분투 전원 종료 버튼이 생기지 않고 일시정지 버튼만 활성화되어있어서, 이 버튼을 누르면 컴퓨터의 동작이 모두 마비되고, 모니터가 켜지지 않고 본체만 절전모드로 돌아가는 현상이 있어 본체의 대기 전력을 아예 끄고 다시 재부팅을 하였다. 그런데 재부팅 이후에 그래픽 드라이버 인식이 되지 않아, 컴퓨터를 그냥 다시 껐다 켰더니 동작하였다. 아 그리고 텐서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되고 잇는지, 파라미터는 달라지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해봣는데, 학습이 잘 되고 있는 것 같다.
자 일단 해보자 ㅋㅋㅋㅋ 답이 없는 것 같아도 언젠가는 답이 나올거고 그렇게 할거다! 월요일 할일 dehaze.py 파일 경로랑 snapshot 에포크 설정 변경하고 loss 변화량 파악 그래프로 그리고 vdsr 적용 안되고 gan으로 해야한다고 말씀드리기 일단 기존 파일 경로 다 바꾸고 에포크 설정 변경도 하고 로스 파악은 아직 안했지만 0.009에서 0.02사이를 진동한다는 것을 파악하였고, 기존 VDSR 방식의 논문은 bicubic 방식을 이용해서 사용한 것이고 labeling방식이 내가 사용할 네트워크의 아이디어와는 다르다는 것을 설명드려야 한다. 그리고 지금 하고 있는 것은 각종 network 들의 논문들인데 음 이거는 내 착각일 수 있겠지만 예전에 비해 굉장히 쉽게 읽힌다. 왜일까? 아이패드로..